개념 설계
- blackrusiper
- 2016년 4월 11일
- 1분 분량
성능 및 구조의 확정을 위한 개념 설계가 필요 하다.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 흐름부터, 서버의 구성, 인스턴스의 수량 등등의 설계가 필요한데
주로 BA, AA와의 협업으로 그 관계가 정해지는데,
중간의 협의가 완료가 되면, 각 서비스의 구분과 큰 처리의 구분들이 나누어지게 된다.
그 처리의 구분에 따라 아래의 그림같은 구성도들이 나오게 되고, 이에따른 설명들이 차트나 각 서비스의 특징들을 나열하면 된다.
1. 서비스에 따른 구성도
- 서비스의 개념도에 따른 서버의 물리 구성등을 고려하여 작성한다.
- 서버간의 관계가 표현 되면 좋다.

2. 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흐름도
- 서버간의 관계에 따른 서비스 처리 흐름이다.
- AA의 서비스 관계도의 물리적 도식화이다.

3. 서비스에 따른 서버 구성도
- 구성된 서비스의 실 서버의 기능에 따른 소프트웨어등을 표현한다.
- 표로 서버의 필요 내역등이 추가 될 수 있다.

4. 서비스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
- 네트워크의 자세한 구성을 구성하게 된다.
- Network IP Address, Domain Name, Vlan 등 네트워크의 대략적인 큰 틀들을 표현한다.
- 장애를 대비한 네트워크 이중화와 서버의 이중화와의 관계는 가용성 혹은 다중화 개념으로
넘어가므로 가능한 정확한 개념으로 표현한다.
- 외부로 넘어가는 서비스의 경우 정확한 프로토콜 및 기술등을 작성 하도록한다.

5. 서버 배포 계획도
- 서버의 배포 계획은 생각보다 다양하고 복작하므로 배포 계획 및 배포시 사용하게 될 작업도구등을 정확하게 표현해서 서비스의 지속 및 배포 개념을 정확히 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