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EARCH BY TAGS: 

RECENT POSTS: 

FOLLOW ME:

  • Facebook Clean Grey
  • Twitter Clean Grey
  • Instagram Clean Grey

구조 방향 & 기초 자료 조사

  • blackrusiper
  • 2016년 1월 9일
  • 1분 분량

구조 방향과 이에 따른 요구사항을 정리 할때는 먼저 크게 3단계로 보는게 좋다.

  • 1 단계 : 전체 업무 ( 어떤 프로젝트인가 )

  • 2단계 : 구축 하려는 시스템의 역할 구분 ( 인증, 연동, 처리, 연산 Etc. )

  • 3단계 : 상세 기능 ( 처리의 양, 정확한 구분, 확실한 처리 구분 )

이렇게 3단계 ( 표로 본다면 Level 3 ) 인데 저것을 표로 본다면 아래의 그림 중, 과일의 분류와 같을 것이다.

( 내 표현이 이상하다면 미안하다..더 쉽게가 안된다. )

종류의 항목에는 서비스 구분(어떤프로젝트인가) 원산지에는 서비스 기능(시스템의 역할 구분) 품목에는 실제 개발이 필요하게 될 상세기능(상세기능)이 들어갈 수있을 것이다.

위의 표현 방법은 AA의 영역으로 보일테지만 규모에 따라서 각 단계의 부분이 WAS Instance Group 으로 보고 성능 및 구조를 예측한다면 TA로서 무리가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위의 표를 만들기 위해서 조건들을 수집해야 할 것이다.

필요한 조건들을 한개씩 나열을 하는 것인데 그것은 아래처럼 간단하게 나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아래의 표를 토대로 아래의 요건정리부터 시작해서 위의 표 구조로 필요 상세로 내려간다고 보면 된다.

이렇게 정리된 요구사항들은 서비스의 구분과 인스턴스 구분에 영향을 미치고 이를 바탕으로 AA의 의견과 개발 방향을 통해 기본적인 구성이 완정 되겠다.

위의 표는 최대한 소소한 것까지 다 적는것이 좋다.

물론 그만큼 많은 것이 필요 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자료 등을 모아야 하므로 미팅 내용의 녹음등은 반드시 병행하자.

Comments


© 2023 by Closet Confidential. Proudly created with Wix.com

  • b-facebook
  • Instagram Black Round
bottom of page